엔트리 첫 화면에는 어떤 메뉴와 기능들이 위치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맨 처음 앞선 회원가입 내역으로 로그인을 하게 되면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나의 프로필 아이콘이 보입니다. 예전에는 그냥 아이디가 나왔었는데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왼쪽으로는 대표 메인 메뉴들이 있습니다. 대표 메뉴부터 작은 기능들의 메뉴들까지 첫 화면의 메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 메인 메뉴
앞서 이야기하였지만 로그인을 하게 되면 오른쪽 상단에 프로필 이미지가 보이게 되고 왼쪽으로는 메인 메뉴인 [생각하기], [만들기], [공유하기], [커뮤니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entry]라는 한 가지 메뉴가 더 있는데 이것에는 엔트리를 소개하고 문의하며 기타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것들이 위치해 있습니다.
[생각하기] 메뉴에는 엔트리를 첫걸음마 하시는 분들이라면 참고용으로 좋은 주제별과 학년별로 학습과정이 있습니다. 그리고 [만들기] 메뉴에는 엔트리 작품을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화면들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 공간이 나오게 됩니다. [공유하기]는 말 그대로 서로 만든 작품들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에는 묻고 답하기 공간이나 노하후&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서브 메뉴
앞서 대표 메뉴를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대표 메뉴들에 묶여 있는 서브 메뉴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하기] 대표 메뉴에는 [엔트리 학습하기]와 [교과서 실습하기]가 있습니다. 첫 번째 살펴볼 것은 바로 [엔트리 학습하기] 메뉴입니다. 해당 메뉴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엔트리 첫걸음의 학습내용들과 활용을 하기 위한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교과서 실습하기] 메뉴에서는 초등 교과서 그대로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각 출판사의 도움자료 및 수업 교안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만들기] 메뉴입니다. [만들기] 메뉴에서는 [작품 만들기]와 [교과형 만들기] 메뉴가 있어 실제 엔트리 보드를 통해 작품을 만들게 됩니다. 아직 공부를 하면서 해당 글들을 작성 중이라 메뉴가 최근에 변경이 되면서 이전에 "기본형"과 "교과형"에 매칭 되는 즉, 기본형이 더 많은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는 것은 알겠으나 깊은 이해가 지금은 없어서 스터디를 하면서 해당 메뉴에 대해서는 좀 더 차이를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스터디 만들기] 메뉴에서는 아래와 같이 스터디를 만드는 공간입니다.
다음으로는 [공유하기] 메뉴입니다. 공유하기에는 만들어진 작품을 공유하는 [작품 공유하기]라는 공간이 있고, [스터디 만들기] 통해서 만들어진 작품들을 서로 공유하는 [스터디 공유하기]라는 공간이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마지막에 있는 커뮤니티는 말그대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공간이 [묻고 답하기], 노하나 팁을 공유하는 [노하우&팁], 그리고 [엔트리 이야기]라는 메뉴와 [공지사항]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들 중에서 좀 더 참고할 만한 곳은 [공지사항]으로 수업 공지나 이벤트 공지 그리고 업데이트 공지 등이 이 게시판을 통해 공지가 됩니다.
전체적으로 포스팅에 디테일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엔트리를 처음 시작하실 때 어떤 메뉴들이 있는지만 살짝만 맞본다 생각하고 그림들 위주로 한번 살펴보기만 하시면 될 듯합니다. 저도 이제 공부를 시작하는 단계라 깊게 설명을 드리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할 듯합니다. 나중엔 정말 전문가스러운 정리를 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점차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다음 시간에는 나의 프로필을 꾸며보겠습니다. 나만의 프로필로 서로 만든 작품을 공유하면서 나의 실력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블록 코딩의 방향을 공유하거나 알아가 보시기 바랍니다.